정보

구화관찰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

soma72 2021. 7. 25. 15:23

그러나 일단 특정 연구에서 해석이 이루어지면, 그 결과로 나타나는 검증가설 (혹은 보조가설)은 도구화되어져야 하고 측정을 위한 척도 및 표집절차가 거기에 적용되어져야 한다.

제터버그의 분업과 일탈자의 배제에 관한 예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이는 연구자가 '직업의 수사형, 국외추방, 장기 구금을 요하는 법률의 비율'을 면접이나 우편 설문조사 또는 유능한 전문가로 지정된 자들(예를 들면, 국세조사요원, 공공기관의 관리)의 기록을 읽어보거나, 사회영역에서 자신들의 직업적·법적 역할을 완수하고 있는 사회적 행위자들을 직접 관찰하거나, 연구주제와 관련된 직업과 법률을 엄격하게 통제할 수 있는 실험이론 ; 논리적 연역 : 가서,적 상황을 만들거나, 콤퓨터에 전기적 입력을 가함으로서 직업과 법률이 표시되는 시뮬레이션을 고안함으로써 혹은 다른 많은 방법으로, 관찰하기를 결정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각의 방법은 그 방법 고유의 특징적인 관찰도구, 척도, 표집기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각각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하자.

도 구화관찰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는 (1) 숙련 외의 다른 기술에 의해서는 증대되지 않는(unaugmented) 인간의 감각기관과 (2) 기술적으로 증대되어지는 감각기관을 포함하는 두 가지 일반적인 범주로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참여관찰이라 불리는 기술은 주로 첫째 번의 도구에 의존한다(즉 다른 도움을 받지 않지만, 잘 훈련된 눈, , 코 등……비록 인공물을 수집하거나, 기록하거나, 사진찍거나, 녹음하는 등의 방법으로 최소한으로 증대되어질 수는 있지만).

반면에 '사회조사라 불리는 기술에 있어서는, 연필로 종이에 기록하는 질문지나 면접표에 관찰의 신뢰성을 주로 의존하는 한, 직접적 감각기관의 기술적 증대가 중심이 된다.

감각의 기술적 증대는 관찰자의 감각기관에 즉각적으로 입수될 수 없는 현상(예를 들면 중력 및 자기장, 가치, 태도)을 관찰하려고 함에 따라 또 우리의 모든 관찰의 정확성을 제고시키려고 함에 따라 모든 과학에서 더욱 더 일반적인 경향이 되는 것 같다.

부가적으로 확대된 이와 같은 관찰범위 및 관찰의 정확성에 대한 반대급부는 주로 기술적으로 증대된 관찰의 불가피한 간접성에서 야기되는 부가적 관찰오차로 나타난다.

예를 들면 광선은 천문학자의 눈에 도달하기 전에 제알레고리’ (allegories)와 다른 시뮬레이 션에 대한 논의는 제터 버거 (196378~82) 를 참고하라.

조된 렌즈(가끔은 사진기의 감광판 등)를 통과하며, 응답자의 연령, 직업, 태도는 응답자나 면접자의 사전의 감각적(혹은 단순히 잘못된) 의식과 가끔은 읽기 어려운 글씨 혹은 이해하기 어려운 녹음 등을 통하여조사분석가들의 눈과 귀에 도달하게 된다.

그리하여 (우리가) 육안으로보다는 망원경을 통하여 더 멀리 볼 수 있고, 조사대상자에 대한 직접적 관찰보다는 질문지를 통하여 더욱 빨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고 할지라도 망원경이나 질문지를 통하여 투사된 이미지는 증대되지않는 관찰에 의하여 형성된 이미지보다 더욱 더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확실히 달리 변형된다).

척 도 화관찰도구가 기술적으로 증대되어지는 그렇지 않든 간에 관찰도구는모두 신호(, 소리, 언어적 · 비언어적 몸짓 등)를 받아들이는 기제와 측정목적상 신호 혹은 상징적 표현(예를 들면, 문자판의 눈금, 상자에 표시된‘x’ )을 비교하는 척도로 구성되는 것 같다.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척도는 구체적 관찰결과에 체계적으로 부여될 수 있는 추상적 상징의 집합이며, 척도에 의하여 관찰결과를 측정한다.

척도를 구성할수 있는 상징의 범위에는 제한이 없다.

두 가지 이상의 색명(色名)이하나의 척도가 될 수도 있고, 십이궁(十二宮)이 하나의 척도일 수도 있으며, “, 아니오'도 하나의 척도일 수 있다.

나겔이 지적한 바와같이 사물에 대한 수량적 평가는 확실이 가장 좋은 방법일지라도 어떤7) 캐플란의 견해는 다소 더 좁다.

가장 일반적 용어로 측정은 어떤 규칙에따라 대상(혹은 사건 또는 상황)에 수치를 활당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나 그는 또한 측정을 추상공간에 대상을 지도로 그리는 것이라고말하면서 대상이 지도화되는 공간은 꼭 수로 구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것은 아니다라고 말한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대상에 대하여 부여되는이론 ; 논리적 연역 : 가설선택된 특성을 평가하는 하나의 방법에 불과하다”(1960 : 122).

이것은 잃어버린 책이다' 혹은 '그는 잠을 >잤다' 또는 '이 과자는 너무 달다는 수()에 대한 명확한 언급없이 내려진 판단들이다.

이러한 넓은 관점에서 볼 때, 측정은 사물에 대한 우리의 관념을 한계 지우거나 고정시키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따라서, 개인인가혹은 집단인가 여부에 대한 결정도 측정의 문제이다” (1960 : 121).

더욱 일반적으로 바르토프스키 (Wartofsky)는 다음과 같이 지적한다.

개념 형성과 언어가 일단 사물(事物)과 동일한서로 다른)의 관념을 획득하게 되면, 서열화시키는 개념으로서의 계급 (class)이란 관념 (역주 : 예를 들면, 같은 사물과 다른 사물로 계급화시키는)이 나타나게 된다.

여기서 측정은 확인, 비교, 분류의 과정 내에 그 뿌리를 내리게 된다.

이 와 같은 기본적인 측정 개념의 세련화는 인간이 성취한 가장 위대한 것 중의 하나로 종종 기술적 변화와 사회적 변이 (social transformation)를 일으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1968 : 153, 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