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예비적 준비작업

soma72 2021. 7. 23. 07:34

 

그러나 밀즈(C.

Wright Mills)가 지적하였듯이 그와 같은 주의 깊은 예비적 준비작업이 항상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과학적 과정의 모든 요인들은 다른 요인들과의 통합의 정도 및 공식화의 정도에 있어서 크게 상이할 수 있다.

밀즈는 특히 과학적 과정에서의 이론화와 그 밖의 다른 측면과의 관계가 너무나도 소원하기 때문에, 이론은 '맹목적인 개념숭배’ (the fetishism of the concept)에 의하여 왜곡되거나 그것에 사로잡히게 된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또 그는 조사방법 (research methods)과 가설, 관찰 및 경험적 일반화의 관계는 지나칠 정도로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경험적 조사가 방법론적인 금지’ (methodologicalinhibition)에 의하여 왜곡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한편, 특정 현상을'탐색하기’ (explore) 위한 조사와 구체적인 가실은 '집중하기' (test) 위한 조사의 차이는 공식화와 통합의 정도에 있어서 등일한 번이성(異性, variability)을 노정해 주는 또 다른 것이 됨을 지적할 수 있다.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studies)는 새로운 실제적 또는 방법론적인영역을 찾아내려 한다는 명확한 이유 때문에 비공식화되어 있고 통합되어 있지 않는 이론적, 가설적 또는 방법른적인 논쟁에 의존하게 된다.

이러한 연구에 관해 출간된 보고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종종 그연구를 확실히 뒷받침해 주어야 하는 이론의 추론작업이 있어야 하고조사자가 반드시 유념해야 하는 경험적 일반화, 가설, 관찰 또는 김증 등을 추측해 보는 작업이 뒤따라야만 한다.

그러나 '가설김증’ (hypiothesis-testing)의 연구는 과학적 과정의 모든 요인들에 있어서 한층 더명확하고, 공식화의 정도가 높고, 더욱 더 완전하게 통합된 기초를갖기 쉽다.

9)마지막으로, 과학적 과정의 요인들에 대한 이와 같은 예비적 서술에서, 사회학자 및 기타의 사회과학자들이 종종 '이론' (또는 이론구성)과경험적 조사' 를 과학의 두 가지 주요 구성 요인이라고 단순화시켜 지적하고 있다는 사실을 유념해 볼 필요가 있을 듯 하다.

우리가 이제까지 살펴보았던 여러가지 요인들과 이러한 두가지 개념과의 관계는8) 밀즈는 이와 같은 두 가지 왜곡을 '거대이론’ (grand theory)추상화된 경험주의’ (abstracted empiricism)라고 명명한다 (1959 : 25~75).

그레이저 (Glaser)와 스트라우스 (Strauss)는 또한 비웃기라도 하듯이 논리적 연역 이론이 단순히 선험적 가설에 기초하고 있는 상식에 지나지 않으며 박학한 자에 의하여 제기된 일련의 고루한 이론적 사변에 불과하다고 비난하면서, 사회조사에 의하여 체계적으로 얻어진 자료에 근거하여 성립된 이론과 대비시키고 있다 (1967 : 29, 2).

9) 다이아나 크레인 (Diana Crane)은 신문기고에서 탐색적 연구와 그것이의미하는 과학적 과정의 변형은 특정 학문의 성장의 초기 단계를 상징하는것인 반면에 가설검증의 연구는 더욱더 성숙된 단계 (, 패러다임에 근거한 단계)를 상징하는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쿤의 패러다임기간,1964).

어떠한 것인까?다음의 그림 2>가 그러한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공해 준다.

그림2)의 왼쪽 절반은 그림 1>에서 관찰로부터 그리고 관찰의 결과를 이해함으로써 어떻게 이론이 귀납적으로 구성되어 나아가는가를 보여주고 있으며, 오른쪽 절반은 이론을 관찰 및 관찰에 대한 지식에 어떻게연역적으로 적용시키는가를 보여준다.

10) 또한, 그림 1)의 윗쪽 절1이본구성:관찰된 같과의 이해 :귀납적 방법이론의 적용:관찰될 사실들에 대한 지식;연역적 방법이론화,논리적 방법TODO경험적 조사의 시행 :조사방법1l그림 2) 기존의 인습적인 몇가지 개념에 따라 과학적 과정에서 나타나고있는 주요한 요인, 통제 및 변이 과정들을 분류해 본 그림10) 나는 적 용’ (application)이라는 말을 공학적 (工學的)으로 쓴 것이 아니라 과학적 의미로 썼다.

1반은 소위 이론화 (theorizing)라고 하는 것 ——— , 귀남칙, 예이의 리 방법을 이용하여 이론을 만드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으며, 아래 추절반은 소위 '조사방법’ (research methods)이라고 불리우는 것의 도움을 받아 경험적 조사를 행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과하지 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이와 같은 여러 부분들 사이의 중첩적인 관계들은 그림 1)로부터 명백해 질 수 있다.

그러나 그림 1>은 그밖의 다른 기준에 따라서도 그 과정이 쉽게 분류될 수 있음을 보어 준다.

"그러나, 그림 2>에서 다섯 가지의 정보 구성 요인과 두 가지의 방법론적 통제군은 모두 분류의 기준선상에 위치하고 있음이 주목된다.

정보요인들의 이와 같은 주변성 (marginality)은 그것들이 지시된 통제 하에 각각의 단계로 이행되어갈 수 있다는 사실을 말해주며, 따라서 이것들이 과학적 과정에서 적어도 이중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특히 중요한 것은 중간에 위치한 이행선(transformationalline)이다.

이 선은 가설과 경험적 일반화의 일치에 대한 검증은 과학적 작업의 귀납적 측면과 연역적 측면 양자에 모두 의존하게 되며 이론을 구성할 때나 적용할 때에 모두 중요한 것이 된다는 밀접하게 상호연관된 주장을 뒷받침한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탈행동 사회통합  (0) 2021.07.23
공변관계 인과관계  (0) 2021.07.23
과학적 과정의 현설화  (0) 2021.07.22
이론의확인 수정  (0) 2021.07.22
경험적인 과학적 체계  (0) 2021.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