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일탈행동 사회통합

soma72 2021. 7. 23. 09:36

 

 

 

만약 이론이 아무런 변화없이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면, 그와 같은 여러 가설들의 검증의 결과들은 그 이론의 한계를 기술한 것이 된다.

, 그러한 결과들은 '일탈행동’, ‘사회통합규범적 통합중 어떤 것이 이론의 설명범위 내에 속하게 되며, 어떤 것이 그렇지 않는가를 알려준다.

그러나 사회과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이론의 한계를 기술하는 것보다는 그 한계를 확장시키려는데 관심을 더욱 집중시키기 때문에,이론은 긍정적인 결과를 제시하는 각각의 검증의 영향 하에 수에지는 것이 보통이다.

 

이제까지 살펴본 모든 사실들과 특히 뒤르에 기초한 이와 같은 예시를 기반으로 하여, 다음 장 부터는 그림 1)에 제시된 각자의 요인들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겠다.

필자는 이미 지식 획득을 위한 과학적 방식 (scientific mode)에 있어서 경험적 관찰의 중요한 역할을 지적한 바 있다.

따라서 필자의 논의는 바로 이 요인 (즉 관찰)으로부터 시작하여, 그림 1>의 시계 방향을 따라 제속될 것이다.

그러나 사람에 따라서는 다른 요인 또는 다른 통제요인 혹은 그밖의 전환 요인으로부터 논의를 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림 1)에 제시된 과정은 실제적인 시작과 끝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설명의 편의상 그것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준인 정취주이기 경했을 정리하고 수집합을 출발점으로 하여 과학이라는 시나리를 오르게 된다고 생기 한다

그러나 내가 당신이 지금 경험한 바를 기록해 보라"는 명링을 받있다면 이와 같은 애매한 명령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 것인지 내 자신은 어리둥절해지고 말 것이다.

이 때 나 자신이 쓰고 있는 바를 기록해야 되고, 내가 들은 종소리를 기록해야 되며, 신문팔이 소년이 외치는 소리 및 단조로운 얘기를 크게 떠드는 사람의 말을 기고해야 하는 것인가? 또는 이러한 소음들이 나를 괴롭히고 있다는 사실을 기록해야 하는 것이가? ……과학이란 관점과 이론적인 문제를 필요로 한다(1961 : 106).

또한 바르토프스키 (Wartofsky)는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 있다.

모든 기술적인 말투 및 모든 관찰의 진술은 곧 하나의 가설이 된다.

더우기 ……그러한 모든 가설은 그것을 우리들이 거부하거나 지지하기 위해서 행하는 경험의 검증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침을 제시하는 적합성의 기반을 이미 가지고 있다 (1968 : 182).

2)이와 같이 일상의 평범한 관찰이 이전의 정보요인 (: 가설)과 방법론적 통제 (: 검증)에 의존하게 된다면, 하물며 정교한 통제를 가장 커다란 특징으로 하고 있는 과학적 관찰의 경우는 어떠하겠는가! 이 문제에 대하여 캐플란(Kaplan)이 언급하고 있듯이 과학에 있어서의 모든 관찰은 ;무엇보다도 과학자에 의하여 수행되는 모종의 행동이다.

과학적 관찰은 정교한 탐색이며 세심한 주의와 통찰력을 필요로 하고, 따라서 우연적이고 크게 수동적인 일상의 지각과는 대비된다.

이와 같은 관찰과정의 통제와 정밀성이 바로 과학의 특징이 되는 것이며, 단순히 특수한 도구들을 이용한다.

는 사실이 과학의 특징이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특수한 도구의 이용 그 자체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것이 통찰력과 주의를 요한다는 징표가 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는 관찰은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는 의미를 함축)을 또한 참고할 것.

2) 한센 (Hansen만찬 ; 측정, 표본요약, 모수치의 추경 ; 경지 일반하고 있다.

즉 관찰이라는 단어의 본래적 의미는 단순히 '본다' (to see) 는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샅샅이 살핀다' (to watch over)는 것을 뜻한다.

(1964 : 126~27).

3)그러나 과학적 관찰이 과학적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른 요인들과 상호의 존적이라고 말하는 것은 관찰이 부분적으로 다른 요인들과는 독립적일 수도 있다는 사실을 무의미하게 만들지는 않는다.

사실 그림1)에 제시된 모든 정보요인, 모든 방법론적 통제 및 모든 정보변형 과정에서도 마찬가지이다.

, 다른 요인에 완전히의존하고 있는 요인은 절대로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림 1)로 묘사된 체계는 사실상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폐쇄된 체계가 아니다.

그 체계에의 투입물(inputs)그림 1>에서 다루지 아니하였고, 단순히 분석적 시각의 이유 때문에 본서의 내용에서 취급한다.

그러나 필자는 이미 투입물의 원천으로써 과학적 제도(scientific institution)의 사회적 구조와 그 제도를 포용하고 있는 사회적 구조에 대해서 그와 같은 언급을 해왔음을 주목해야겠다.

또한 문화의 다른 이상적 하위체계 ——즉 심미적 윤리적 하위체계 ——그림 1)에 제시된 정보요인, 방법론적 통제 및 정보변형과정의 ’, ‘우아함' 또는 '도덕적 정당화가 고려 될 때 과학적 과정에 대한 투입 물이 된다.

그 밖에도 과학적 과정에의 가3) 이에 덧붙여 캐플란이 여기서 과학적 관찰과 일상의 관찰 사이의 가장 커다란 차이점으로 정교한 통제를 강조한 것은 그가 어떤 사실에 대한 지식과 그에 대한 경험이라고 명명한 것들 사이의 차이와 관련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는 사실이 지적될 수 있겠다.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날씨가 따뜻하다는 것을 안다는 것과 따뜻함을 느낀다는 것은 별개의 것이다.

인지과정 그 자체는 다른 어떠한 것과 마찬가지로 대단히 구체적인 하나의 경험이 되기는 하지만, 알려져 있는 것은 명제상에서 추상적이고 일정한 형식을 갖는 그 어떤 것이다.

(그리고) 상황에 대한 경험의 내용을 망라할 수 있는 한정된 명제의 집합은 존재하지 않는다”(1964 : 208).

과학은 곡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징적 대표성  (0) 2021.07.23
과학은 지식만을 추구할뿐이다  (0) 2021.07.23
공변관계 인과관계  (0) 2021.07.23
예비적 준비작업  (0) 2021.07.23
과학적 과정의 현설화  (0) 2021.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