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이론의 경험적 내용

soma72 2021. 7. 26. 08:38

 

 

우리가 어떤 이론을 갖고 있으며 그 이론에 의하여 허용된 기본진술은 아주 좁은 잔여 분할부분에 의하여 표시된다고 가정하자.

이와 같은 이론은 분명히 쉽게 반박당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 이론은 논리적으로 가능한, 고려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사건들을 배제하여 경험계에서 단지 아주 좁은 범위의 가능성만을 인정하기 때문이다.

그 이론의 경험적 내용의 범위가 매우 넓다는 식으로 경험계에 대하여 매우 많은 것을 주장하므로, 말하자면 반증 가능성에서 빠져나갈 기회가 거의 없게 된다.

이론적인 과학은 이런 의미에서 쉽게 반증가능한 이론의 획득을 목표로 한다.

……우리가 이와 같은 이론의 획득에 성공한다면 그 이론은 우리의 특정 경헌제룬 최대한도로 정확하게 기술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 이론은 논리적으로 가능한 모든 경험의 세계에서 우리의 경험올 이론적 과학에 의하여 회득된 최대의 정확성을 갖고서 선발한 것이기 때문이다(1961 : 112~13).

가설이 원리상 검증가능하다고 한다면, 조사되어야할 현상의 본성(nature)이 정해지고 사용할 특정 과학적 기법 (더 일반적으로는, 방법론(methods], 해석, 도구화, 척도화, 측정기술 등)이 주어져서, 필요한 관찰 및 경험적 일반화와 검증이 실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면, 실제상으로 검증가능하다.

브래록은 사회학——주어진 변수들의 체계를 그 체계 밖에 기원을 두고 있는 방해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극도로 어렵고 따라서 가설은 가끔 매우 불분명한 경향성을 나타내는 용어로 표현되는——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검증가능성의 문제를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브래록이 지적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우리가 설명되지 않는 상당한 부분의 변량을 허용하는 통계적 용어로 법칙을 진술하게 될 때, 법칙을 연 역 체제로 발전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게 된다.

예를 들면, 만약 A라면 B이고, B라면 C이며, 따라서 A라면 · C라는 추리의 단순한 방향은 A라면 대개 B이며, B면 대개 C이고 따라서 A면 때때로 C라는 식으로 변형된다.

이런 이론은 A에 대한 B의 발생확률의정확한 값이 주어지고 또 B에 대한 C의 발생확률의 정확한 값이 주어지지 않는다면, 결코 예측치(豫測値)를 가지지 못한다 (1968 : 156).

브래록은 부정확한 통계적 법칙에 대한 대안으로 단지 이상적인 모델에만 적용되는 연역적 이론을 공식화하는 것이라 논의한다;그러나 이런 이론은 어떻게 검증될 수 있는가? 정확하게 공식화된 연역적 이론의 검증은 우리가 특정화된 이상적 조건에 접근할 수 있느냐에 의존한다.

모든 실제적 목적에 합당하게 외적 영향으로부터 효과적으로 격리될 수 있는 자연 체계를 발견할 수 있다면 실험실실험이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머지 않는 장래에 사회학자들이 그런 이상적 조건 하에서 이론을 검증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하자.

그래도 여전히 최선의 전략은, 우리가, 단지 아주 조잡한 검증에 만족해야만 할, 다소 정확한 연역적 이론을 공식화하 것이다.

또 다른 하나의 대안은 대부분의 경우에 앞의 대안과 동등한 것으로 드러나는- 설명 되지 않은 변량을 허용하는 연역적 이론을 구성하는 것이다.

…… 그러나 설명되지 않는 그러한 변량을 허용하자마자 우리는 그것들과 다른 변수들과의 관련에 관한 단순화된 어떤 가정을 하여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 검증가능한 예언은 불가능한다 (1968 : 157).

그리고 그런 단순화된 가정에 관하여 브래록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과학자는 항상 현실 (reality)를 얼마만큼 단순화시킬 것인가 하는 곤란에 직면한다.

단순한 이론은 쉽게 구성되고 평가될 수 있는데 반해, 현실에의 적합가능성은 복잡한 이론이 더 크다.

이러한 곤란이 특정가설과 관련하여 적어도 잠정적으로 해결되고 또 그 가설에 대한 원리상 또는 실제상의 검증가능성이 충족된 다음에야 가설에 대한 검증이 실제로 이루어진다.

가설2.

가설의 수락 및 기각 여부의 결정포퍼는 검증절차가 배심원에 의한 재판과 비슷하다고 논의한다 (1961109~10).

가설에 대한 주장의 진실성은 증거 및 절차의 규칙에 따라 결정되며, 주장을 하는 피고의 운명이나 가설이 연역되는 이론의 운명은 심판관(판사)의 선고에 의하여 결정된다.

'재판' 에서 과학자는 (1) 창조된 이론, 그 이론의 토대, 문제의 가설이 연역된 절차 또는 방법 (통상' 연구보고서의 문제의 진술()이나'관련 문헌의 고찰' 의 장에 요약되어 있는) 그리고 (2) 개별 관찰결과에 포함되어 있는 해석, 척도화, 도구화, 표집단계 및 경험적 일반화를 도출하는 데 포함된 측정, 표본치 (통계치)의 요약, 모수치의 추정 (통상 조사방법의 장에 요약되어 있는) 등에 대하여 체계적인 고려를 한다.

이론적 가설과 경험적 발견사실을 실제로 비교하기 전에, 이와 같은 정보요소(information componcnt)와 방법론적 통제에 관한 체계적 비판을 함으로써 과학자는 가설과 경험적 발견사실 사이의 비교가 가능한 범위를 평가하려고 한다.

, 이점에서, 과학자들은 다음에 대하여 알고자 한다.

이론이 얼마나 잘 통합되어 있으며 잘 정립된 것인가? 얼마나 조심스럽게 가설이 연역되었는가? 가설이 얼마나 창의력이 풍부하고 엄밀하며 전달가능하게 해석되고, 척도화되고, 도구화되었으며 그리고 확인가능한 모집단의 특정 표본에 대하여 이루어졌는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론의 구조  (0) 2021.08.24
적합성에 대한 객관적 측정  (0) 2021.07.26
사회의 분업에 관한 연구  (0) 2021.07.26
우리가 다루려는 대상의 측면  (0) 2021.07.26
구화관찰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  (0) 2021.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