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71

사회의 분업에 관한 연구

|측정하는 척도를 고안하거나 선택한 다음, 마지막으로 조사자는 실제로 관찰할 관찰가능한 것들의 표본에 대한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한다. 1) 즉 조사연구자는 자신이 예상하고 있는 경험적 일반화를 적용시키고자 원하는 모집단을 정의하여야만 한다(예를 들면 어떤 사회의 분업에 관한 연구를 한다고 할 때, 그 사회가 미국사회인지 혹은 아이티[서인도제도에 있는 공화국 사회인지, 18세기의 사회인지, 20세기의 사회인지?). 그리고 나서, 그는 그 사회의 관찰가능한 직업들과 법률들의 합당한 표본에 대하여 관찰할 것인지, 혹은 대표적인 한 사례에 대하여만 관찰할 것인지를 결정해야만 한다. 그리고 그는 이러한 표본을 어떻게 끌어내야 하는지를 결정해야만 한다. 지금까지 논의한 바에 의하면 해석, 도구화, 척도화, 표집 등..

정보 2021.07.26

우리가 다루려는 대상의 측면

척도의 네가지 일반적 유형이 스티븐스(Stevens)에 의하여 기술되어졌는데 (1946), 그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8) 스티븐스는 “우리가 다루려는 대상의 측면들과 수적 연속성이란 성질 사이에는 어떤 유질 동형(類質同形)이 존제하기 때문에 우선 척도가 가능하다”는 주장을 자신의 논의의 기초로 삼는다 (1946 : 142). 따라서 ‘우리가 다루려는 대상의 측면’은 적용되어질 수 있는 척도의 유형을 한정한다. 그리하여 우리가 관심을 갖고 있는 대상의 측면이 같은가 아니면 다른것은 수(number)라기 보다는 숫자〉(numeral)라고 말하는 것이 더 정확할 것이다. (숫자를) 부여하는 규칙 (rule of assignment)이 숫자들 사이의 관계를 결정하며 이러한 관계의 패던이 추상적 공간 ..

정보 2021.07.26

구화관찰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

그러나 일단 특정 연구에서 해석이 이루어지면, 그 결과로 나타나는 검증가설 (혹은 보조가설)은 도구화되어져야 하고 측정을 위한 척도 및 표집절차가 거기에 적용되어져야 한다. 제터버그의 분업과 일탈자의 배제에 관한 예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이는 연구자가 '직업의 수’와 ‘사형, 국외추방, 장기 구금을 요하는 법률의 비율'을 면접이나 우편 설문조사 또는 유능한 전문가로 지정된 자들(예를 들면, 국세조사요원, 공공기관의 관리)의 기록을 읽어보거나, 사회영역에서 자신들의 직업적·법적 역할을 완수하고 있는 사회적 행위자들을 직접 관찰하거나, 연구주제와 관련된 직업과 법률을 엄격하게 통제할 수 있는 실험이론 ; 논리적 연역 : 가서,적 상황을 만들거나, 콤퓨터에 전기적 입력을 가함으로서 직업과 법률이 표시되는 시뮬..

정보 2021.07.25

자신들의 영향력을 제한하는 임계치

3)특정 이론이 비교가능한 다른 이론보다 내적으로 더 일관성이 있고비 동어반복적이고 정보적인 면에서 타 이론보다 더 우수하다면 그 이론으로부터 연역된 가설이 적절한 경험적 일반화와 일치하는 범위가그 이론의 과학적인 수용 여부를 결정할 것이다. 해석그러나 나겔이 지적하였듯이 이론적으로 연역된 예언 혹은 가설이즉각적으로 또 분명하게 관찰로 연결되어 지는 것은 아니다. 어떤 이론이 설명과 예언의 도구로 사용되려면 이론은 관찰가능한 소재를과 어느 정도 연관되어져야만 한다. 이러한 연관의 불가피성은 최근의 문헌에서 반복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그리고 이 점에 대하여 조정적 정의, 조작적 정의, 어의적 규칙, 상응규칙, 인식론적 상관, 해석 규칙 등의 다양한 명칭이 부쳐졌다 (1961 : 93). 3) 이와 같은 연..

정보 2021.07.25

귀납의 산물인 이론의 연역적 결과

과학적 과정에서 관찰결과로부터 이론을 구성하는 것은 여기서 끝나고, 이제부터는 다시 이론을 관찰결과에 적용시키는 과정이 시작된다는 것을 〈그림 1>은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론은 특성조사 결과들에 대하여 아주 동일하게 적용되어지는 것은 아니다. 특징이론이 실제적인 또는 가능한 관찰결과에 대한 유용한 상징적 표현을 제공하는 (위 의미에서 적용되어지는) 범위는 적어도 세 가지 종류의 비교 검토(test comparisons)에 의존하는 것 같다. 첫째, 이론이 내적으로 일관성이 있으며 비 동어반복적인가 여부를 검토하기 위한 이론의 일부분과 다른 부분 사이를 비교하는 내적 비교가 있을 수 있고 둘째, 모든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더 넓은 개념적 범위 혹은 더 높은 개념적 추상성을 가졌거나 더 단순화되었다거..

정보 2021.07.25

이론들이 변화에 철저히 저항

그 첫번째 것은 “최초의 경험적 발견의 범위〉가 이론에 의하여 크게 확대되며, 일관성이 없는 것처럼 보이는 다수의 제일성들이 상호관련을 맺게 된다”는 점이다. 두번째 기능 또한 경험적 일반화들을 이론으로 이행시키는 결과를 구체화하는 것인 즉, “상호관련을 맺고 있는 명제들의 집합으로부터 제일성을 도출함으로써 그에 대한 이론적 인적합성을 확립시키면, 우리들은 이론과 조사결과를 축적〉할 수 있게 된다. ” 세째, 네째 및 다섯째 기능은 앞의 〈그림 1)에 제시된 그 다음의 이행단계, 즉 이론이 가설로 옮아감으로써 나타나는 결과들을 더욱 적절하• 게 구체화하고 있다: “3경험적 제일성들을 이론적인 진술들로 전환하는 것은 계속적인 의미의 탐색을 통해 조사의 유용성〉을 증대시킨다 이론은 논리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정보 2021.07.25

환원문의 집합

가결한 독특한 조작들의 한정되어 있고 구체화된 집합도 내용에 포합된다). 개념과 그에 상응하는 관찰가능한 것들의 집합 중 어느 하나가 변하면, 나머지 하나도 틀림없이 변한다. 따라서, 극단적인 예를 들어, '지능' 이 특수한 검사에서 개인들이 얻은 특정의 점수라고 규정되었다면, 동일하지는 않은 그와 유사한 다른 검사에서 얻은 그들의 점수들은 각기 새로운 개념으로 명명되어야 한 둘째, 각각의 개별적인 명칭 또는 용어에 포함될 수 있는 관찰가능한 것들 (관찰 불가능한 것은 제외)의 일부에 대해서 개념적인 명칭을 부여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절차에서는 '환원문’ (reduction sentences)을 활용하며, 불확정적이고 단지 부분적으로만 구체화되어 있는 관찰가능한 것들의 집합으로 개념이 환원되어 지..

정보 2021.07.25

경험적 조사이론

즉 경험적 조사는아론의 발전을 형상화하는데 도움을 주는 적어도 네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그것은 이론을 주도하고〉(initiate), 재구성하며〉(reformulate), 〈변형시카고>(deflect), 명료화한다〉(clarify) (1957 : 103). 쿤(Kuhn)은 그가 이론화를 자극하는 것들을 거의 전적으로 ‘변칙성 (anomaly)과 ‘위기’ (crisis)——이것들은 예기치 않았던 경험적 일반화에 의하여 유발됨- 속에서 나타난다고 주장하는데, 적어도 이 점논의할 수 있다고 가정 하지 않는다. 나는 ‘타당화된’ 결론들의 힘에 의하여 이론들이 '진리' 로써 확립될 수 있다고 결코 가정하지 않으며, 심지어는 단순히 가능한 것으로 확립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도 결코 하지 않는다" (Popper, ..

정보 2021.07.24

독립적으로 행선될수있는 의미

그것은 이론과는 독립적으로 행성된 수 있는 의미를 보유한다. 또한 그것은 법치이 이론의 궁극적인 피를 넘어서서 생존할 수 있게끔 만들어 주는 관찰된 증거에 근거한다.이러한 사신들은 실험적 법칙이, 소위 말해서, 자신의 생애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법칙을 설명해줄 수 있는 어떠한 특정의 이론의 지속되어 나은 생애와도 무관하다는 것을 뜻한다 (1961 : 86~7). 그러나, 아무리 한편에서는 경험적 일반화와 법칙과의 관계를, 다른 한편에서는 이론을 생각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논의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단순하고도 모두가 인정하는 관찰에 대한 일반화(및 법칙)의 관계이다. 즉, 일반화는 그와 같은 관찰에 있어서의 규칙성에 관한 진술인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진술과 이론과의 관계는 그렇게 간단하지는..

정보 2021.07.24

무작위성에 대한 규칙

“통계적 일반화는 관찰의 총 사례수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일부 속성의 상대적 빈도의 비율 또는 그러한 속성들 사이의 모종의관계가 계속 밝혀지게 되는 귀납적 추론이다”(1968 : 234). 그러나 “그와 같은 추론의 타당성의 조건은 그러한 일반화(통계적 일반화)를 가능하게 해준 표본의 가상적인 무작위성이다. ” 또한 “그와 같은 무작위성에 대한 규칙은 수학적인 확율의 계산과 같은 이상적인 경우에서설명된다” (1968 : 239). 사실 더 나아가서 통계적 일반화의 타당성의 직접적인 조건은 측정, 표본요약 및 일반화 그 자체를 만들어내는 모수치의 추정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관찰(이의 변형이 일반화임)을 유도하는 모든 절차를 포함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은 표집절차이외에도 〈그림 1)에서 제시된 바 ..

정보 2021.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