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한 척도치는 관심을 표명하고 있는 현상에 대한 모든 가능한 관찰들이 행해지고 그것들에 척도치기 정확하게 부여될 때 일어지는 값들의 편파된 표본을 대표한다. 확실히 편파된 표본에 근거한 진술은 관심을 표명하고 있는 것의 모집단에 일률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전혀 가지지 못한다. 즉 그것은 기대되는 보편성을 가지지 못한다. 따라서 모수치의 추정——통계적 추리의 기법을 채택하거나 또는 한충 더 개략적이고 비공식적인 절차를 채택하거나 간에 ——은 관찰이 경험적 일반화로 이행되어 가는 과정을 통제하는 기본적인 수단이 된다. 이것을 통해 과학자는 관찰이 가능한 관심 대상의 모집단에서 기대되는 값의 범위를 추정하게 된다(또한 자신의 추정 근거를 내보이기도 함)물론 이 때 관찰되어진 표본(특정의 절차에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