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8

일반법칙 존재

일련의 문장들이다 (1965 : 247). 그리고 나서, 헴펠은 “특정 상황(앞의 인용문에서는 조건)과 관련법칙이 주어진다면 현상의 발생이 예견되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연역적-법칙적’ 설명 혹은 간단히 'D-N 식 설명’을 기술하고 있다. 그리고 바로 이런 의미에서 설명은 현상이 왜 일어나는가를 우리에게 이해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D-N식 설명 형식에 있어서도 설명되는 것은 설명하는 것의 논리적 결과이다” (1965 : 337). 그러면 이제부터는 인과적 설명을 살펴보자. 설명의 맥락에 있어서 '원인'은 다소간의 일련의 진술 Ci, C2C 로 기술될 수 있는 상황들 혹은 사건들의 복합체로 여겨진다. 그리하여 인과적 설명들은 은연 중에 Li, L2…L, 와 같은 일반법칙이 존재한다고..

정보 2021.08.24

캐플란의 이론

(설명하는 일련의 진술)과 설명되는 것 (설명되어지는 사물은 기술하는 진술를) 사이의 연결이 논리적 연역체계이기 때문에 ‘계층적'인 혹은 '연역적’ 인 것이라고 부른다. 계층적 이론은 그 구성법칙이 몇 가지 기본원리들로부터 연역된 것으로 나타나는 이론이다. 법칙은 이러한 원리들의 논리적 결과임을 보여 줌으로써 설명되며, 사실(事實)은 어떤 최초의 조건과 함께 법칙들로부터 나타나게 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설명된다 (1964 : 298). 캐플란이 계층적 이론의 예로서 제시한 것은 물리학에 있어서의 상대성이론과 멘델의 유전의 법칙 및 케인즈의 경제이론이다. 캐플란은 두 번째 종류의 이론(사회학에서 보다 친근한)을 연결형’ 혹은 ‘모형적’ 인 것이라 부른다. 연결형 이론은 확인가능한 배열 혹은 패턴을 이루도..

정보 2021.08.24

자연의 운행에 대한 개요

비록 낙하하는 물체가 과거에도 없었고 또 미래에도 없을지라도 만약 낙하물이 있다면 갈릴레오의 법칙에 따라 낙하될 것이라고 우리는 말할 수 있다(1968 : 251). 동일한 기분(vein)으로, 캐플란은 이론을 “자연의 운행(game of nature)상의 움직임 (moves)에 대한 개요(槪要) 이상인 것으로 보며 또한 이론은 움직임을 이해가능하게 하는 운행 규칙이라는 사고(idea)를 만들어 낸다”고 한다(1964: 302). 또 퀸(Quine)(1967)을 참고하라. 은 주로 과거와 미래에 관련된 설명적 - 예언적인 이론적 준거를 통하여 필연성을 이해하려는 억누를 수 없는 추구를 계속한다. 이러한 이중적 준거를 통하여 우리는 필연성의 문제에 대한 이중적인 접근을 계속적 · 동시적으로 추구한다. 우리..

정보 2021.08.24

이론의 구조

이론〈그림 1>에서 제시된 구성요소를 사이의 관계를 이미 간략히 논의하였으나, 다시 되돌아가서 특히 이론에 관해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자. 왜냐하면 이론은 과학적 과정의 가장 포괄적인 정보구성 요인(information component)을 구성하기 때문이며, 또 이론화는 아주 인간적인 자질을 요구한다고 논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론형성이 가장 중요하고 가장 특색있는 과학적 활동이든 아니든 간에, 이론이란 용어의 의미로 보면 이론화작업은 인간에게 있어 가장 중요하고 특정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이는 단순한 사실에 대한 이해와는 반대되는 경험에 대한 상징적 차원을 나타낸다. 이른화하는 것은 경험을 통하여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되어진 것에 관하여 사고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보 2021.08.24

적합성에 대한 객관적 측정

측정, 표집치의 요약, 모수치의 추정의 확립된(또는 확립 가능한) 절차와 얼마나 상응되게 관찰결과로부터 경험적 일반화로 귀납되었는가? 간단히 얘기해서, 발견사실이 가설의 공정한 검증을 가능하게 하는가? 위의 각각에 대한 대답이 긍정적이라면, 그 다음 단계는 바로 검증 또는 비교단계이다. 여기서의 중심문제는 사실과 가설 사이에 존재할지도모르는 얼마간의 적합성에 대한 객관적’ (즉 간주체적間主體的)으로 미리 합의된) 측정과 그러한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객관적’ 규칙들을 확립하는 것이다. 통계적 검증은 가설과 발견된 사실 사이의 적합성을 측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객관적이고 정밀하며 민감한 규칙을 제공한다. 그러한 검증에서는 가설과 발견된 사실 양자 모두가 양적 형태로 표현되어야 하나, 불행하게도 항상..

정보 2021.07.26

이론의 경험적 내용

우리가 어떤 이론을 갖고 있으며 그 이론에 의하여 허용된 기본진술은 아주 좁은 잔여 분할부분에 의하여 표시된다고 가정하자. 이와 같은 이론은 분명히 쉽게 반박당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 이론은 논리적으로 가능한, 고려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사건들을 배제하여 경험계에서 단지 아주 좁은 범위의 가능성만을 인정하기 때문이다. “그 이론의 경험적 내용의 범위가 매우 넓다”는 식으로 경험계에 대하여 매우 많은 것을 주장하므로, 말하자면 반증 가능성에서 빠져나갈 기회가 거의 없게 된다. 이론적인 과학은 이런 의미에서 쉽게 반증가능한 이론의 획득을 목표로 한다. ……우리가 이와 같은 이론의 획득에 성공한다면 그 이론은 우리의 특정 경헌제룬 최대한도로 정확하게 기술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 이론은 논리적으로 가능한 모든..

정보 2021.07.26

사회의 분업에 관한 연구

|측정하는 척도를 고안하거나 선택한 다음, 마지막으로 조사자는 실제로 관찰할 관찰가능한 것들의 표본에 대한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한다. 1) 즉 조사연구자는 자신이 예상하고 있는 경험적 일반화를 적용시키고자 원하는 모집단을 정의하여야만 한다(예를 들면 어떤 사회의 분업에 관한 연구를 한다고 할 때, 그 사회가 미국사회인지 혹은 아이티[서인도제도에 있는 공화국 사회인지, 18세기의 사회인지, 20세기의 사회인지?). 그리고 나서, 그는 그 사회의 관찰가능한 직업들과 법률들의 합당한 표본에 대하여 관찰할 것인지, 혹은 대표적인 한 사례에 대하여만 관찰할 것인지를 결정해야만 한다. 그리고 그는 이러한 표본을 어떻게 끌어내야 하는지를 결정해야만 한다. 지금까지 논의한 바에 의하면 해석, 도구화, 척도화, 표집 등..

정보 2021.07.26

우리가 다루려는 대상의 측면

척도의 네가지 일반적 유형이 스티븐스(Stevens)에 의하여 기술되어졌는데 (1946), 그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8) 스티븐스는 “우리가 다루려는 대상의 측면들과 수적 연속성이란 성질 사이에는 어떤 유질 동형(類質同形)이 존제하기 때문에 우선 척도가 가능하다”는 주장을 자신의 논의의 기초로 삼는다 (1946 : 142). 따라서 ‘우리가 다루려는 대상의 측면’은 적용되어질 수 있는 척도의 유형을 한정한다. 그리하여 우리가 관심을 갖고 있는 대상의 측면이 같은가 아니면 다른것은 수(number)라기 보다는 숫자〉(numeral)라고 말하는 것이 더 정확할 것이다. (숫자를) 부여하는 규칙 (rule of assignment)이 숫자들 사이의 관계를 결정하며 이러한 관계의 패던이 추상적 공간 ..

정보 2021.07.26

구화관찰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

그러나 일단 특정 연구에서 해석이 이루어지면, 그 결과로 나타나는 검증가설 (혹은 보조가설)은 도구화되어져야 하고 측정을 위한 척도 및 표집절차가 거기에 적용되어져야 한다. 제터버그의 분업과 일탈자의 배제에 관한 예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이는 연구자가 '직업의 수’와 ‘사형, 국외추방, 장기 구금을 요하는 법률의 비율'을 면접이나 우편 설문조사 또는 유능한 전문가로 지정된 자들(예를 들면, 국세조사요원, 공공기관의 관리)의 기록을 읽어보거나, 사회영역에서 자신들의 직업적·법적 역할을 완수하고 있는 사회적 행위자들을 직접 관찰하거나, 연구주제와 관련된 직업과 법률을 엄격하게 통제할 수 있는 실험이론 ; 논리적 연역 : 가서,적 상황을 만들거나, 콤퓨터에 전기적 입력을 가함으로서 직업과 법률이 표시되는 시뮬..

정보 2021.07.25

자신들의 영향력을 제한하는 임계치

3)특정 이론이 비교가능한 다른 이론보다 내적으로 더 일관성이 있고비 동어반복적이고 정보적인 면에서 타 이론보다 더 우수하다면 그 이론으로부터 연역된 가설이 적절한 경험적 일반화와 일치하는 범위가그 이론의 과학적인 수용 여부를 결정할 것이다. 해석그러나 나겔이 지적하였듯이 이론적으로 연역된 예언 혹은 가설이즉각적으로 또 분명하게 관찰로 연결되어 지는 것은 아니다. 어떤 이론이 설명과 예언의 도구로 사용되려면 이론은 관찰가능한 소재를과 어느 정도 연관되어져야만 한다. 이러한 연관의 불가피성은 최근의 문헌에서 반복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그리고 이 점에 대하여 조정적 정의, 조작적 정의, 어의적 규칙, 상응규칙, 인식론적 상관, 해석 규칙 등의 다양한 명칭이 부쳐졌다 (1961 : 93). 3) 이와 같은 연..

정보 2021.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