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련의 문장들이다 (1965 : 247). 그리고 나서, 헴펠은 “특정 상황(앞의 인용문에서는 조건)과 관련법칙이 주어진다면 현상의 발생이 예견되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연역적-법칙적’ 설명 혹은 간단히 'D-N 식 설명’을 기술하고 있다. 그리고 바로 이런 의미에서 설명은 현상이 왜 일어나는가를 우리에게 이해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D-N식 설명 형식에 있어서도 설명되는 것은 설명하는 것의 논리적 결과이다” (1965 : 337). 그러면 이제부터는 인과적 설명을 살펴보자. 설명의 맥락에 있어서 '원인'은 다소간의 일련의 진술 Ci, C2C 로 기술될 수 있는 상황들 혹은 사건들의 복합체로 여겨진다. 그리하여 인과적 설명들은 은연 중에 Li, L2…L, 와 같은 일반법칙이 존재한다고..